오늘 예술과 영성은 한국어로 진행되며 자막은 아랍어 어울락(베트남)어 중국어 영어 불어 독어 인도네시아어 (일본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태국어 스페인어입니다

오늘 예술과 영성은 한국의 아름다운 전통의상, 한복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민족의상인 한복은 수천년 동안 한국의 시대적,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면서 발전과 변화를 거듭해 왔습니다

오늘 한복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해 주실 분으로 한복 산업 마케팅 연구소의 박현주 소장님을 모셨는데요 소장님과 함께 한복의 시대적 변천 과정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한복 산업 마케팅 연구소는 역사 드라마의 의상을 고증하고 제작해 온 기관입니다 이 연구소는 전통한복의 고전적인 아름다움을 되살리는 한편으로 창의적이고 현대적인 한복을 널리 보급하는 데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제 고대의 한국으로 날아가 2천년 전 고구려 왕이 입던 한복을 함께 보시겠습니다

이건 저희가 드라마 대조영을 촬영하면서 협찬에 들어갔던 건데 대조영의 보장왕 역을 맡으신 분이 입었던 옷이었어요 이 옷 같은 경우는 한복의 기본 원형에 가장 가까운 옷이고 그 다음에 고구려 시대에 지금 대표적인 패턴을 가지고 있는 거지요

한복은 아래에 치마나 바지, 그 다음에 위에는 저고리, 그 위에 두루마기라고 하는, 지금 형태로 두루마기라고 하는데 옛날엔 포라고 얘기를 합니다 그래서 이 세가지를 입는 게 기본적인 특징을 갖고 있는 거지요

그러면 이제 고구려시대 귀족들의 옷을 살펴볼까요? 당시의 옷은 크고 화려한 허리띠를 매고 그 위에 다시 긴 두루마기를 걸쳐 멋과 아름다움을 더했습니다

이 복식은 물론 드라마 대조영, 연개소문 때 주로 많이 보여주고 있는 그런 삼국시대 때에 여자 귀족복식의 대표적인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패턴이 한국 고대 복식의 여자 복식의 기본적인 패턴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자와 남자 상관없이 고대에는 기마민족, 유목민족이었기 때문에 끊임없이 이동을 하고 다녔어요 그래서 여자고 남자고 치마를 입지 않고 바지를 입었습니다

일반 백성들은 치마를 많이 입지 않았고, 거의 대부분이 귀족층이라든지 아니면 하늘에 제사를 지내러 갈 때나, 그 다음에 나라에 큰 행사가 있을 때 그럴 때 특별한 경우에 치마를 입게 됐지요 이런 식으로 치마를 입고 그 다음에 저고리를 입습니다 저고리를 입고, 그 다음에 저고리에 남자도 마찬가지고 여자도 마찬가지입니다 허리띠를 하게 됩니다

그러면 이제 시대를 건너 지금으로부터 천년 전인 고려 시대로 넘어가, 당시의 한복 모습을 살펴보겠습니다 지금 여러분이 보고 계신 옷은 약 천년 전 노국공주가 입던 고려시대의 의상을 재현한 것입니다

여자들의 치마가 밑에 치마가 길어지고 위가 짧아집니다 그리고 여기서 우리가 고구려 시대나 고대 복식 쪽에서는 저고리를 위쪽으로 내 입지만, 저고리를 안에 입고 치마를 위에 겹쳐 입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두루마기를 입고, 그 다음에 귀족 여자들 같은 경우 표라 그래서 숄을 이렇게 걸칩니다 이 복식은 고려 중기 때까지 이러한 패턴이 내려오게 됩니다 고려 말기에 가면 저고리가 다시 길어지는 상황으로 들어가고 있습니다

그러면 고려시대 남자들이 입던 전통 의상은 어떤 것이었을까요?

지금 보시는 복식은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복식으로 보시면 됩니다 고려시대 복식은 주로 직령 깃이 주로 좌로 많이 돌아갔습니다 그 다음에 이렇게 돌아가는 복식을 허리끈으로, 그러니까 벨트로 이렇게 묶어줍니다 그리고 항상 우리 한국에서는 머리에다가 모자를 쓰고 있습니다 머리 끈을 한다든지 두건을 한다든지 천으로 된 모자들을 주로 씁니다

그러면 이제 조선 시대의 전통의상을 알아볼까요? 조선은 약 5백년 동안 이어진 왕조로 20세기 초반까지 지속되었습니다 그래서 보통 『한복』이라고 하면 조선시대의 전통의상을 떠올리게 됩니다

지금 대장금에 들어 갔던 생각시 옷입니다 드라마 대장금 그리고 지금도 이런 복식의 기본 구조를 이루고 있지요 당시 조선시대에는 서민과 귀족의 차이가 없었어요 기본 옷의 패턴은 구조상으로는 신분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치마, 저고리 지금 보시고 계시는 이 복식은 드라마 황진이 예, 황진이 복식이었어요

잠시 후 다시 돌아와 조선시대의 화려한 궁중의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계속 수프림 마스터 텔레비전을 시청해 주세요 지금 보고계신 프로그램은 예술과 영성입니다 예술과 영성에 다시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 우리는 한국의 전통의상, 한복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지금 보시고 있는 의상들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입던 의상입니다 먼저 왕이 입던 의상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지금 보시고 있는 이 옷은 왕의 일상복이라고 합니다 주로 이제 곤룡포라고 합니다 지금 여기에 보고 있는 거는 영조의 영정을 보고 저희가 재현을 한 복식이지요. 그 시대 때의 왕의 복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조선시대 왕은 주로 붉은 색의 곤룡포를 입었습니다 가슴에는 커다란 용무늬가 금실로 수놓아져 있습니다

왕이나 왕족에서 이렇게 붙이는 것을 보라고 합니다 이것은 왕보에 해당합니다 왕이 쓸 수 있는 것, 용을 쓸 수 있는 건 왕만이 쓸 수 있고 그 다음에 왕세자는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전까지는 용을 씁니다

다음으론 조선시대 여인들의 궁중의상을 살펴보겠습니다

조선시대의 왕가에서는 주로 이런 식으로 청홍치마를 즐겨 입었습니다 안에 청치마를 입고, 위에다 홍치마를 입습니다 이렇게 삼겹저고리를 삼작 저고리를 입습니다

분홍 저고리, 그 다음, 송화색 저고리, 그 다음에 연두 저고리를 기본적으로 세가지를 입고요 가장 안에 이렇게 분홍 저고리를 입습니다 분홍색 저고리 위에 송화색 저고리를 입습니다 끝동과 깃과 고름을 회장으로 둘렀습니다 주로 왜 이쪽에다가 팥색깔 팥죽 색깔을 회장으로 둘렀냐, 목이라던지 소매라던지 몸안으로 액이 들어갈 수 있는 데에 액막이를 하기 위해서 다 붉은 색으로 둘러놨죠 그 다음에 어떻게 입느냐 하면은 연두 저고리를 입습니다

이렇게 삼작 저고리를 입은 뒤에 궁중에서는 다시 당의라고 하는 긴 저고리를 위에 입었습니다 당의는 궁중 여인들의 일상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의는 궁중에서 일반 귀빈들이라던지, 궁중 여인들이 당의를 다 착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가에서 궁중출입을 하게 되면 옆집이나 아니면 다른 집에 가서 빌려서라도 당의를 입고 입궐을 해야 된다고 합니다 이것처럼 흰 당의는 여름에 입습니다 이 연두 당의는 대표적으로 중전의 당의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보면, 보가 이렇게 달려있습니다 보가 하나, 둘, 셋, 네개 지금 뒷면에도 보가 달려있습니다 그리고 금박이 찍혀 있습니다

궁중에서 신분이 높은 여인들은 원삼이라는 예복을 입었습니다

그래서 첫번째 이렇게 저고리를 삼작 저고리를 입고 당의를 입고 그 다음에 입는 것이 원삼입니다 이것은 녹원삼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비빈, 후궁, 그 다음에 상궁들이 착용하는 복식이지요 또 하나의 녹원삼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여름에 입는 녹원삼입니다 지금 보시는 것은 노의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귀족 부인들, 궁의 귀빈, 후궁까지 다 착용했던 예복입니다

지금 보여지고 있는 것은 또다른 원삼입니다 이것은 홍원삼 이라고 합니다 지금 보시면 봉황 문양이 금직이 되어 있습니다 봉황 문양은 우리나라 왕비 이하, 공주라던지 후궁들에게 찍을 수 있는 문양이거든요 지금 이것은 황원삼을 보십니다

네, 정말로 우아한 의상들이지요! 오늘 우리는 한국의 전통의상 한복이 변천해 온 과정을 시대적으로 함께 살펴봤습니다

오늘 예술과 영성에 함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주 화요일인 3월 31일에 방영될 한국의 전통의상 한복 제 2부에도 많은 시청 바랍니다 계속해서 주목할 뉴스 뒤 지혜의 말씀이 방영됩니다 계속 수프림 마스터 TV를 시청해 주세요 고귀한 생각과 행동이 여러분의 삶을 축복하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