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십자회 운동의 신비적 형제애는 부득이하게 많은 부분들이 비밀로 행해졌습니다 이것의 뿌리는 고대 이집트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파라오 투트모세 3세는 오늘날까지 지속되는 원칙에 의해 입문자들의 첫 번째 비밀 학교를 세웠지요

현대 연구가들은 장미십자회 운동이 1607-1616년 독일 신교도들로부터 비롯 되었다고 추측합니다 그 당시 유럽에서는 익명의 성명서 3개가 출판 되었습니다 그 3개의 문서는 『형제애에 대하여』 『형제단의 고백서』 『크리스찬 로젠크로이츠의 화학의 결혼』입니다

장미십자회는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모든 존재의 근원은 신임을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임을 믿었습니다 채식은 개인의 진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었고 과학적 신비적 윤리적으로도 타당한 것입니다

장미십자회는 지성에서부터 신비 의식 혹은 깨달음에 이르기 까지 깨우침을 밝히기 위해 고대의 지식을 함께 나누는 듯 보여집니다

오늘은 장미십자회 비경의 현명한 가르침들을 함께 하겠습니다

스승과 제자 사이를 따뜻한 마음으로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목할 뉴스에 이어 동물의 세계 더불어 사는 세상이 방송되니 수프림 마스터 텔레비전을 계속 시청해 주세요 천국의 은총 가득한 평화의 삶을 누리시길

장미 십자회 비경: 세상의 영혼

장미십자회의 비경에 보면 아래와 같은 두 번째 잠언이 있다

두 번째 잠언 2

우주 알 내부의 씨가 형태를 취하다 불이 다시 붙여진다 시간이 시작된다 물체가 존재한다 행위가 시작된다 서로 반대되는 짝들이 존재하게 된다 세상의 영혼이 태어나고 현현 속으로 깨어난다 새로운 우주 날의 첫 번째 광선이 지평선 위로 비추인다

이 창조의 두 번째 잠언에서 장미십자회원들은 영원한 부모의 첫 번째 현현인 세상의 영혼에 대한 개념에 주의해야 할 것이다 이 세상의 영혼은- 첫 번째 현현- 장미십자회에 의해 중앙에 검은 점을 포함하는 원으로 상징되어진다 이 원은 당연히 무한한 비현현을 나타내며 검은 점은 옛날의 신비주의자들이 그 생각을 시적으로 표현했듯이 새로운 현현의 핵심인 『우주 알 내부의 씨』를 나타내는 것이다

첫 번째 현현인 세상의 영혼에 대한 장미십자회의 개념은 여러 위대하고 심오한 가장 오래된 신비주의 학파들의 비슷한 개념들과 여러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몇몇의 철학에서는 『아니마 문디』혹은 『세상의 삶』또는 『세상의 영혼』혹은 『세상 혼』이라고 알려져 있다 다른 말로는 로고스 혹은 말씀이며 데미얼지(창조자)다 개념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즉 영원한 비현현의 무조건적인 정수로부터 새로운 우주의 원 혹은 우주의 날에서 오는 모든 우주의 미래 잠재성과 가능성을 내재하는 물질의 가장 미묘하고 기본적인 요소로 된 옷을 입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우주의 영혼이 생겨나는 것이다

이 우주의 영혼은 두 번째 잠언에서 『우주 알 내부의 씨』로 표현되어 알 안의 작은 씨에서 자라나 점차 크기와 복잡성이 증가하여 형태를 이루고 행위를 유발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이다 세상의 영혼이 살아있는 씨인 우주의 알 상징은 대단히 오래된 것이며 고대 세계에서 널리 쓰였던 것이다

어떤 번역의 형태로 혹은 다른 것에서 많은 이름 중 하나로 쓰여지는 세상의 영혼이라는 개념은 실제로 보편적인 것이라 할 만하다 고대의 많은 철학 학파들 내에서 우주 영혼인 아니마 문디는 모든 개별적으로 분리된 존재들이 통합적으로 하지만 명백히 분리된 채로 (사실상 분리가 아닌) 있다고 가르쳐졌다 생명은 하나다라는 믿음은 고대 최고의 거의 모든 철학들에서 표현되어져 왔으며 사실상 묘하게 숨겨진 형태로 최고의 현대 철학의 근저에도 깔려있다고 말할 수 있다 로고스의 철학적 개념에 대해서는 같은 기본적인 개념에서 더 발전한 형태의 다른 개념을 볼 수 있다

로고스라는 용어는 철학자인 에베소의 헤라클레이토스에 와서 처음으로 유명해졌는데 세상에서 볼 수 있는 자연의 법칙으로서 물질의 운동에 질서와 규칙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로고스는 스토아 학파의 철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들은 세상을 주재하는 능동적인 원리를 로고스라 불렀는데 이 용어는 마찬가지로 보편적인 생성의 근원을 말한다 철학의 역사에 관한 한 권위자는 로고스의 개념에 대해 말했다 『신과 세상 사이의 매개자로서 감각들의 세상을 통해 널리 퍼져 있다 로고스는 신과는 달리 영원으로부터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기원은 우리들이나 다른 피조물들과는 다른 것이다 그것은 신의 첫 번째 태생으로 우리 같은 불완전한 존재들에겐 거의 신 같은 존재이다 로고스의 존재를 통해 신이 세상을 창조했다』

데미얼지(창조주)의 철학적인 개념에서 우리는 같은 기본적인 개념의 또 다른 형태를 발견한다 데미얼지(창조주)란 플라톤 학파가 붙인 이름으로 높고 신비한 존재로서 그에 의해 신이 우주를 창조했다고 여겨지는 존재이다 그는 범신론의 자연신에 가까운 존재로 다른 철학 학파들의 『살아있는 자연』과 유사한 것이다 데미얼지는 세상의 생명 혹은 우주적 생명으로서 바다의 물방울이나 불꽃들만 빼고 셀 수 없는 모든 유한한 피조물들의 생명이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에서 데미얼지의 개념은 신과 동일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신의 위대한 첫 번째 현현이라는 개념으로서 그런 방법을 통해 신이 세상을 창조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우주를 만들고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자연의 중심에 존재하는 신의 현현인 보편적 의지의 이념은 많은 현대의 철학 속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영국의 철학자인 커즈월스는 그의 이념인 『조형력이 있는 자연』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신과는 구별되는 존재로서의 자연이 아무 의미가 없는 존재가 된다는 것과 신이 모든 것을 즉각적이고 또한 기적적으로 다 만들어 그것으로부터 모든 것이 강제적으로 또한 격정적으로 혹은 인공적으로만 발생되어지는 것이고 내재된 어떤 원칙으로 스스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어울리지 않는다』

이 견해는 나아가 더 반론을 제기한다 즉 움직이는 힘이 전지전능하다면 창조의 느리고 점진적인 과정을 볼 때 그것이 실속 없고 헛된 사치이며 경박한 형식에 불과한 것이라는 말이며 또한 물질들이 부적절하고 조화되지 않은 경우의 실수들과 실책들을 볼 때 움직이는 힘은 불가항력의 것이 아니며 자연이란 (인간도 마찬가지로) 물질에 대한 불쾌함에 화를 내거나 실망하는 것이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말이 되는 것이다 반면 전지전능한 움직이는 힘은 순식간에 자신의 일을 처리할 수 있으니 늘 모든 것을 전혀 오류 없이 불가항력적으로 그런 힘을 방해할 어떤 물질의 부적절함이나 완고함 혹은 실수나 실책 같은 것들이 없이 처리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만물이 우연하게 창조되거나 무질서한 구조로 창조된 것도 신이 직접 만물을 즉각적이고 기적적으로 창조한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신 아래에 하위의 신에 종속된 기구인 제 2의 본성이 있어 규칙적이고 질서정연한 사물의 움직임으로 구성된 신의 섭리의 부분을 애써 실행에 옮기고 그 옆에는 승인된 더 높은 신의 섭리가 그것을 주재한다 이것은 제 2의 본성의 결함을 보완하고 때론 수정하여 제 2의 본성이 선택권이나 재량권을 갖지 못하게 한다

쇼펜하우어가 설립한 저명한 철학 학교는 우주적 영 (주요 속성은 욕망-의지)의 존재를 상정했다 우주적 영으로부터 우주의 피조물이 생성되었다 우주적 영은 경이로운 존재로 자신을 나타내려는 갈망과 열망 추구,분투하는 욕망으로 가득 차 있죠 쇼펜하우어는 이를 생존 의지라 불렀다 이는 지성적이기보다 본능적으로 묘사되며 자기-나툼의 목적을 실현시키는 창조하는 지성으로 묘사된다

다른 철학자들은 쇼펜하우어의 주요 사상을 다양하게 발전시켰다 이와 같은 사상 우주적 영의 근본적 속성으로 표현되는 『삶에의 의지』는 고대의 불교 철학자들에 의해 표현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철학에서 우주적 영은 첫번째 나툼 보다는 영원한 부모로 간주되었다

같은 방식으로 어떤 사색가들의 학파는 존재 자체를 무수한 생명체와 사물로 표현하려는 『살려는 본성』을 전제했다 우주의 모든 존재는 일정한 형태와 밀도로 생명을 소유하며 실제로 장미십자회 역시 그런 개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장미십자회의 비경은 세상의 영혼과 무한한 실재를 동일시 하지는 않는다 세상의 영혼은 단지 무한한 실재의 첫번째 나툼으로 모든 피조물이 유래되었다가 마침내 다시 회귀하는 곳으로 보았다 세상의 영혼은 영원하지 않으며 반면에 우주 밤낮의 리듬에 따라 나타나고 사라진다

두 번째 잠언

『불꽃은 다시 점화된다』 어둠의 빛이 한번 더 세상의 영혼이란 형태의 불꽃으로 타오를 때,새로운 우주가 시작된다 이렇게 쓰여있다

『시간이 시작된다』 이건 진실로 보여진다 변화가 시작됐고 변화는 시간의 본질이며 시간은 변화의 척도이다

『사물이 존재한다』 이는 세상의 영혼은 진실로 사물의 모든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긍정적 용어로 정의될 수 있는데 비록 상상하기 어려운 것이지만 지성적 관점과 논리성에 의해 추론할 수 있다

『행위가 시작된다』 우주의 태내에서 미생물이 생겨나고 활동과 행위 변화가 나타난다 세상의 영혼은 어슴프레한 새벽에서부터 최후의 순간까지 중단없는 활동을 계속해서 이어간다

『양극의 속성이 나타난다』 만물은 양극의 형태로 출현된다 세상의 영혼이 처음으로 희미한 숨을 내쉬는 순간 반대되는 속성이 나타나고 구별이 시작되며 양극의 속성이 스스로를 드러낸다

『세상의 영혼이 탄생하고 깨어나 화현된다』 세상의 영혼은 깨어나는 순간부터 활동적으로 나투기 시작한다 그 자체 속에 생존 의지와 더불어 나툼을 촉구하는 힘이 내재되어 있기에 일단 깨어난 후엔 보다 높고 복잡한 형태의 생명과 행위로 나투고자 하는 근본적인 본능을 따른다

『지평선 위로 우주적인 새로운 날이 동 튼다』 세상의 영혼이 깨어나면 우주적인 새로운 날이 시작되고 순환의 주기 속에서 우주적 밤의 그늘이 다시 한번 드리워질 때까지 계속 활동한다

장미십자회에 따르면 세상의 영혼은 육체를 제외한 영혼이 아니라 가장 미세하고 가벼운 물질- 창공의 대기 보다도 과학 보다도 훨씬 정교하고 미세하며 가벼운 물질로 된 의상을 입었으며, 가장 단단한 강철이나 화강암보다도 훨씬 정교하고 미세하다

세상의 영혼은 이 미세한 물질로 육체를 형상화시킨다 가장 밀도 높은 물질의 형태조차도- 가장 높은 형태의 정교한 육체적 형상조차도 이와 비교될 수 없고 전 대지와도 비견될 수 없다

장미십자회는 더 나아가 세상의 영혼이 영원한 부모에 의해 『무로부터』 창조된 것은 아니라고 한다 또한 세상의 영혼은 영원한 부모의 주요 본질의 분리나 분할에 의해(이는 논리적으로 불가능하고 잘못된 생각임) 창조된 것은 아니라고 한다 이와는 반대로 세상의 영혼은 영원한 부모의 이데아로 존재한다고 한다 마치 실제로 존재하는 듯이 사물을 그려내는 백일몽이나 몽상 혹은 꿈처럼 다르게 표현하자면 세상의 영혼이 영원한 부모의 무한한 상상 속에서 그림처럼 존재하기에 결국엔 실재의 그림자일 뿐 실재 자체는 아니다

세상의 영혼은 우주의 날 새벽에 깊은 잠에서 방금 깨어난 몽상가로 일컬어진다 그는 자신의 의식을 되찾으려 분투한다 그는 자신을 모르며 자신이 영원한 부모의 이데아임을 알지 못한다 말로 표현할 수 있다면 그는 깨어나기 전에는 항상 잠들어 있었다고 하겠다

그는 자신 속에서 무의식적이고 본능적으로 표현과 나툼을 향한 촉구를 느낀다 이 촉구는 본성과 속성의 일부로서 존재화를 불러오는 영원한 부모의 이데아의 특성에 의해 내부에 심겨진 것이다 갓 태어난 아기처럼 숨쉬기 위해 발버둥 치며 움직이기 시작한다 분투하고 움직이자 본성으로부터 반응이 나타나며 활동이 시작된다 여기서 잠시 숨쉬려 발버둥치는 (물론 비유이다) 세상의 영혼을 남겨 둔다 이것의 미래는 다음의 잠언과 관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