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to friend  친구에게 보내기   이 비디오를 개인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게시하시려면 다음 버튼을 눌러 동영상 소스를 복사하세요.  동영상 소스 복사   프린트

단기간 머무는 온실가스가 지구를 가열합니다
정부의 기후 노력들이 주요 온실가스로서 탄산가스를 줄이는 데 계속 집중하는 가운데 점점 더 많은 숫자의 과학자와 지도자들은 온난화 효과가 이산화탄소보다 몇 배나 단명하는 여타의 기후를 강제하는 물질들에 주의를 환기시키기 시작했습니다. 메탄과 함께, 주로 축산업에 의해 발생하고 그 효과는 겨우 십 년 안에 소멸될 수 있는 강력한 온실가스인 여타의 물질들이 재빨리 중지될 수 있는 강력한 온난화 영향을
유사하게 갖고 있습니다. 노르웨이 대기조사 연구소의 안드레아스 스톨박사는 설명합니다.


안드레아스 스톨 박사: 단명하는 기후 강제 요인들은 예를 들어 10년, 15년보다 짧은 생애를 가진
것들인데 수명이 약 십년인 메탄으로부터 시작합니다. 그것은 만일 이 물질들의 배출을 줄이면 대기 중의 농도가 거의 즉시 낮아진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리고 기후에 대한 영향도 거의 즉시 줄어드는데 그것은
이산화탄소에서는 얻지 못하는 것이지요.

리포터: 단명한 기후강제자의 역할을 하는 에어로졸 중의 하나는 블랙카본 또는 검댕입니다. 검댕은 바이오 연료와 들판이나 숲 같은 연소물질들의 불완전 연소를 통하여 배출됩니다. 하늘에 떠있는 검은 입자들은 대기 중이나 눈이나 얼음에 침전된 후에도 태양복사열을 흡수하여 지역적인 온난화를 야기합니다.

안드레아스 스톨 박사: 그것은 눈의 표면을 검게 해 눈이 더 많은 태양복사열을 흡수하기 시작하고 그것은 아마도 눈이 봄철에 더 빨리 녹아 없어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빙하에서도 추가적인 용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리포터: 이 중요한 온난화 원천을 고찰하신 스톨 박사와 모든  과학자들에게 감사드립니다. 빠르고 필연적인 행성의 냉각을 이루기 위해  블랙카본과 메탄 같은 단명한 물질들을 해결하는 조치에 지금 동참합시다.

칭하이 무상사는 2009년 12월 16일판 아이리쉬 도그 저널에 게재된 인터뷰 중에서와 같이 기후변화를 중단시키는 가장 효과적 조치들을 자주 촉구하셨습니다.

칭하이 무상사 : 강력한 메탄은 사실 이전에 여겼던 것보다 온난화의 더 큰 요인입니다. 좋은 소식은
메탄은 약 12년이면 대기에서 소멸된다는 겁니다. 그에 반해 이산화탄소는 수천 년이 걸리죠. 우리가 지금 신속하고 효과적인 변화를 원한다면 메탄의 최대 배출원인 축산업에서 메탄의 생산을 멈춰야 합니다.

축산업은 열대우림 파괴의 주된 원인입니다. 목초지를 위해 숲을 태우는 건 이산화탄소보다 2천 배나 더 많은 열기를 잡아두는 매연입자인 블랙카본의 주요한 배출원입니다. 이 무척 뜨거운 입자는 전세계 빙원으로 이동해 그들의 해빙을 촉진합니다. 저는 세계지도자들이 파괴적인 육류 생산을 추방하고 대신에 가스를 흡수하는 유기농 비건채소농법에 지원금을 사용하도록 신속히 행동하길 기도하고 있어요. 그러면 우리는 기후에 즉각 영향을 줄 수 있고 CO2를 해결할 친환경 기술을 개발하고 완결시킬 시간을 가질 겁니다.


 IWC회의에서 포경 금지법이 지속됩니다

지난 주 모로코 아가디르에서 열린 국제포경위원회 (IWC)의 5일간 연례 정상회담에 88개 회원국이 모여 상업 포경을 금지하는 장기적인 금지를 지속할 것인지의 여부를 최우선으로 논의하였습니다. 참석한 많은 회원들은 해양 포유동물들을 충분히 보호할 수 없는 금지법의 철폐 제안에 우려를 표했습니다.

선도적 회원인 독일 대표 거트 린대먼은 『이러한 공문을 우린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포경은 계획된 것보다 더 감소되어야 하고 상업 어획은 완전히 종식되어야 합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이와 유사하게 미국의 성명서에도 『우선적이고 중요하게 미국은 상업어획의 금지를 지지한다. 우리는 치명적이고 전문적 포경을 강력히 반대하고 이는 현재 고래의 보존과 관리를 위해 불필요하다』라고 적혀있었습니다.

호주, 프랑스 독일, 영국 같은 나라들과 많은 중남미 국가들은 금지법의 지속을 지지하는 데 동참했고 전세계 시민들과 과학자들, 지도자들도 지지에 동참했습니다. 위험에 처한 총명한 고래종의 보호를 돕기 위한 국제사회의 현명한 투표에 박수를 보내며 감사를 드립니다. 우리 모두가 이러한 보존 노력을 계속하여 이 사랑스런 해양 포유동물들이 깊고 푸른 바다 서식지에서 다시 번성하길 바랍니다.

http://www.earthtimes.org/articles/news/330988,hunt-ban-summary.html
http://www.google.com/hostednews/afp/article/ALeqM5iPUjGuZokfP3tyEKCC8pXzfvgnVg
http://www.huffingtonpost.com/philip-radford/obama-administration-keep_b_623866.html
http://www.earthtimes.org/articles/news/330470,corruption-allegations-summary.html


그 밖의 소식

*
인도 북부 라자스탄 주의 99%의 댐이 지난 몇 년간 적은 강우량으로 말라가고 있어 주도인 자이푸르의 상황이 악화되고 비살푸르 댐이 곧 마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http://timesofindia.indiatimes.com/city/jaipur/Water-crisis-Bisalpur-to-run-dry-by-July-10/articleshow
/6084597.cms
http://sify.com/news/empty-dams-cause-water-scarcity-in-jaipur-news-national-kgbqkgeiahb.html  



* 미국 발명가 마이크 스트리즈키와 브래드 칼슨, 데이비드 스콰이어스는 태양에너지 물 정화 시스템『히드라』를 개발하는데 이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를 제거하여 매일 2만 갤론의 물을 정화하여 공급할 수 있습니다.
http://www.philly.com/philly/news/local
/20100623_Inventors_say_Hydra_offers_clean_water__hope_for_villages.html
http://www.hopewellproject.org/pages/event.html


* 방글라데시 정부는 소형 형광등을 배포하여 전기 절약을 돕고 매일 5백 메가와트의 전력을 절약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http://www.iol.co.za/index.php?set_id=1&click_id=31&art_id=nw20100620085154239C904089
http://nation.ittefaq.com/issues/2010/06/19/news0469.htm
http://www.alertnet.org/thenews/newsdesk/SGE65I00N.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