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을 보존을 위한 개간 중단 - 2010년7월3일  
email to friend  친구에게 보내기    프린트

7월 1일 목요일 호주 브리즈번에서 종료된 최근의 회의에서 유엔 환경계획(UNEP) 수석 과학자인 요셉 알카모 박사는 생물 다양성의 손실을 막기 위한 확실한 추가 목표를 촉구했습니다. 그의 요구는 생물의 다양성과 생태계가 인간의 생존과 강하게 연관되었다는 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정부간의 새로운 공약 설정을 위한 6월 초 UNEP 국가들의 투표에 따른 것입니다.

인간활동과 기후 변화로 인한 전세계 동식물 종의 엄청난 감소에 직면하여 알카모 박사는 이상적인 전략은  그들의 회복 기회를 기반으로 개개 종들을 보호하려는 시도보다 전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영향을 제한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예로 그는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삼림 벌채 등의 토지 사용 변화의 감소를 제안했습니다.

퀸즐랜드 대학 환경 연구원인 클라이브 맥알파인 박사에 의하면 삼림 벌채를 통한 개간은 호주의 생물
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관찰되어 왔습니다.

클라이브 맥알파인 박사 – 퀸즐랜드 대학 환경과 기후변화 연구원: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사우스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와 빅토리아 그리고 퀸즐랜드 등의 경관을 바라볼 때 일부 지역은 남겨진 자생 식물이 10% 이하 심지어 5% 정도에 이릅니다.
그 지역에 대규모 개간이 있었으며 이는 생물 다양성과 집수 수문학과 기후 반응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리포터 : 맥알파인 박사는 호주의 급격하고 극적인 나무 제거의 가장 중요한 이유는 농업과 가축방목지를
위한 것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클라이브 맥알파인 박사: 나무는 습기와 영양을 위해 풀과 경쟁합니다. 그 결과 농부들은 그 곳을 새 작물과 목초지로 바꾸고자 더 큰 지역으로 나갔지요.

리포터 : 맥알파인 교수는 환경을 구하기 위해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회복시키고 기후변화와 이런 토지사용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 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클라이브 맥알파인 박사: 우리가 육우 목초지와 다른 형태의 가축 목초지 등의 토지 사용을 검토하지 않고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이외의 것에 집중한다면 해결해야 할 더 많은 문제들을 갖게 될 것입니다.
그러니 그들 모두를 총괄적으로 해결하고 미래의 지속가능한 토지 사용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지요.

리포터 : 삼림 벌채, 생물다양성 손실, 가축 방목지의 밀접한 관계에 대한 맥알파인 교수의 통찰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우리 모두 의존는 남아 있는 생태계의 더 많은 소멸을 방지하기 위해 현명한 정부 정책과 개인들이 협력하길 바랍니다.

더 하우스 매거진 2009년 9월호에 실린 인터뷰에서 칭하이 무상사는 축산업이 생태권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한 심각한 문제를 말씀하셨습니다.

칭하이 무상사 : 육지에서 가축을 먹이는 작물의 방목장을 만들기 위해 방대한 지역을 베어내는 것은 육류소비가 원인입니다. 필연적으로 우리의 생물다양성을 강탈하는 이런 활동으로 인해 동식물의 멸종이 경각심을 줄만큼 증가하고 있었습니다.

가축사육을 위해 제거된 땅뿐 아니라 가축 자체도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하는 강력한 온실가스 방출로 훨씬 더 많은 생물다양성 손실을 초래합니다. 이 모든 것에 대한 답은 아주 명백합니다. 육류 소비를 멈추세요. 당장 멈추세요.

이건 가축사육의 소위 필요성을 없애버릴 것이며 엄청난 양의 땅이 바로 본래대로 다시 지속 가능하게 되거나 생물다양성을 회복하는 자연적인 성장방법으로 되돌아갈 겁니다. 이것이 우리가 가야 할 빨리 가야 할 길입니다.

http://www.smh.com.au/environment/endangered-species-can-be-saved-says-un-scientist-20100630-zmvf.html
http://www.nccarf.edu.au/conference2010/
http://www1.voanews.com/english/news/environment/Australian-Summit-to-Boost-Global-Defenses-against-
Climate-Change-97383239.html
http://www.gpem.uq.edu.au/clive-mcalpine